티스토리 뷰

식품별로 식후에 혈당이 어느 정도 올라가는지 나타내는 수치로 GI 지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GI 지수가 높을수록 혈당이 급격하게 올라가고, 낮을수록 혈당이 완만하게 올라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GI지수를 알아 두면 식사를 할 때 GI지수가 낮은 먹거리를 골라서 먹을 수 있습니다.

GI 지수

주식이라면 백미, 식빵, 우동보다는 발아현미, 현미, 통밀빵, 메밀을 먹는 것이 GI지수를 낮추는 방법입니다.
채소는 기본적으로 GI지수가 낮지만 감자, 당근, 호박, 토란, 고구마, 연근 등은 GI 지수가 높으므로 섭취량에 신경 써야 합니다.
첫 번째 식사(아침 식사)에서 GI 지수가 낮은 식품을 섭취하면 두 번째 식사(점심 식사)를 한 뒤에도 혈당이 급격히 높아지지 않습니다.
물론 하루에 한 끼만 먹는 경우에는 먹는 순서 다이어트도 나쁘지 않습니다.
먹는 순서 다이어트에 대해서는 아래의 글에 적어두었습니다.

 

세컨드 밀 효과 + 먹는 순서 다이어트

당화는 노화의 원인이 되니 예방을 위해서 당질의 과다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눈과 전신의 노화를 늦추는 식사법을 적어보겠습니다. 노화를 막는 식사법은 '식후 혈당의 급상승

aceofswords1.com

단, 첫 번째 식사 중에 먹는 순서를 바꾸면 식사를 하는 동안 위 속에서 섞여 버립니다.
일에 쫓겨 서둘러 점심을 먹는 경우에는 '먹는 순서'에 신경을 써도 효과가 반감되고 맙니다.
이럴 때는 점심 식사 30분 이전에 견과류나 치즈를 먹는 방법이 있습니다.
견과류나 단백질이 풍부한 치즈는 GI 지수가 낮으므로 혈당이 잘 올라가지 않고 세컨드 밀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견과류 중에서 호두는 오메가 3 계열의 지질을 함유한 훌륭한 간식입니다.
견과를 먹는다면 믹스 너트처럼 염분이 높은 것 대신 무염인 견과류를 먹는 것이 좋습니다.

주요 식품의 GI 지수

포도당 100g을 섭취했을 때 혈당 상승 속도를 100으로 두고 각 음식 100g을 섭취했을 때 혈당이 상승하는 속도를 0~100의 값으로 산출합니다.
혈당 지수가 높은 음식은 혈당이 빠르게 상승해서 인슐린의 과잉 분비를 일으킵니다.
인슐린이 과잉 분비되면 혈당이 저하되면서 체지방 축척이 일어나고 비만이 촉진됩니다.

쌀, 곡물류 GI지수
85
정백미 84
발아미 70
현미 56
유제품, 대두 GI지수
두부 42
치즈 35
낫토 33
플레인 요구르트 25
우유 25
빵류 GI지수
단맛 나는 빵 95
식빵 91
호밀빵 58
통밀빵 50

조미료류 GI지수
백설탕 110
흑설탕 99
벌꿀 88
미림 15
면류 GI 지수
우동 80
파스타 65
메밀 59
해조류 GI지수
19
다시마 17
큰실말 12
고기,생선,달걀류 GI지수
고기류 45~49
어패류 40전후
달걀 30
과자류 GI지수
사탕 109
초콜릿 91
아몬드 30
땅콩 28
호두 18

채소, 과일 등 GI지수
감자 90
옥수수 70
고구마 55
바나나 55
토마토 30
오이 23
음료 GI지수
커피 16
홍차 10
녹차 10

GI 지수 기준은 60일 기준으로 60 이상이면 GI 수치가 높은 음식이고 50~60 사이는 GI 지수가 보통인 음식, 50 이하 이면 GI 지수가 낮은 음식입니다.

댓글